1월과 2월 가장 맛이 뛰어난 새조개는 쫄깃한 식감과 감칠맛으로 미식가들에게 사랑받는 해산물입니다. 새조개 이름의 유래와 제철 기간, 효능, 고르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새조개 유래
새조개의 이름은 그 모양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새조개는 조개 껍데기가 새의 부리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물속에서 헤엄치는 모습이 새처럼 빨라 이름 붙었다는 속설도 있습니다. 양식이 불가능해 100% 자연산이며, 청정바다에서만 서식하며, 전남 여수와 충남 홍성 등이 새조개가 유명합니다.
2. 새조개 제철
새조개는 12월부터 3월까지가 제철이며, 1월과 2월에 가장 맛이 뛰어나며 특유의 쫄깃하고 달큰한 식감 때문에 샤브샤브, 회, 무침 등 다양한 요리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3. 새조개 효능
새조개는 영양가가 높은 해산물로, 여러 가지 건강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백질 공급: 새조개는 고단백 식품으로, 근육 형성과 회복에 도움을 줍니다.
⏩비타민과 미네랄: 비타민 B12, 아연, 철분 등이 풍부하여 면역력 강화와 피로 회복에 효과적입니다.
⏩저칼로리: 낮은 칼로리로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적합합니다.
⏩오메가-3 지방산: 심혈관 건강에 도움을 주며, 염증을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4. 새조개 고르는 방법
⏩껍데기 상태 확인: 껍데기가 깨끗하고 손상되지 않은 것을 선택하세요. 껍데기가 열려 있는 경우,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냄새 확인: 신선한 새조개는 바다의 향기가 나야 합니다. 비린내가 나거나 이상한 냄새가 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살의 탄력성: 새조개의 속살이 탄력 있고 색이 선명한 것이 좋습니다. 눌렀을 때 바로 원래 상태로 돌아오는 것이 신선한 상태입니다.
5. 새조개 요리 (나혼산 김대호 레시피)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jHCXuTQcQdiqHbIelYK4wCD8li_hrLQ8Ak4AwvGXnRLwlAFtyj75du5VZ83fCU74Kh93ujIypVUaDl8m5ujHMZuMbFSIlEtzKjMoN3QwQYIf202FyQzKXrK_dYN1qmZ3rLjfYfv-CVaFQWe7NGS_QiFvYUyZ4y4ZXHptptcqbVR51bZXYgY9I_JtzEI1FS/w640-h388-rw/%EC%83%88%EC%A1%B0%EA%B0%9C%EC%83%A4%EB%B8%8C%EC%83%A4%EB%B8%8C.jpg)
가장 인기있는 조리법은 새조개 샤브샤브로, 끓는 육수에 살짝 데쳐 초고추장이나 간장소스에 찍어 먹으면 쫄깃한 식감과 감칠맛으로 더 맛있게 즐기실 수 있습니다. 나혼자산다 나혼산에서 김대호가 집들이요리로 새조개 샤브샤브를 선보였습니다.
인왕산에 올라가 떠온 약수에 집에서도 간편하게 국물 요리를 만들 수 있는 시판 육수 팩인 풀무원 요리육수를 사용했습니다. 풀무원 요리육수는 양지, 다시마, 무, 배추, 양파 마늘 등 엄선한 재료를 넣고 푹 끓여내 깊고 시원한 감칠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미나리, 양파 등 각종 채소와 매생이 칼국수를 유자폰스 소스와 칠리 소스와 함께 즐겼습니다. 상큼한 유자 향이 입맛을 돋궈주는 유자폰즈 소스는 샐러드 드레싱, 초밥, 생선구이 등 다양한 요리와도 잘 어울립니다. 샤브샤브는 너무 오래 익히면 질겨지니 절대 30초는 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새조개는 회, 무침, 조개탕, 볶음 등 다양한 요리법으로 특유의 단맛과 감칠맛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결론
새조개는 피로회복,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주는 식재료입니다. 1월과 2월에 가장 맛이 뛰어나며, 쫄깃한 식감과 특유의 단맛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겨울철 해산물입니다. 제철 음식으로 더욱 맛있고 건강한 생활을 유지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