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생긴 생선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아귀는 한국에서 인기 있는 해산물 중 하나로, 그 맛과 영양가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아귀의 유래와 효능, 부작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아귀 제철
툭 튀어나온 눈과 커다란 입, 날카로운 이빨 등을 가진 아귀는 12월부터 2월까지가 제철이며, 이 시기가 산란기를 앞두고 살이 통통하게 올라 가장 맛있고, 영영가 또한 높습니다.
2. 아귀 유래
못생겨서 붙여진 이름 아귀의 유래를 보면 두 가지 설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악위(顎胃)라는 말이 변하여 아귀가 되었다는 설이 있는데요. '악'은 턱을 의미하고 '위'는 위장을 의미하며 직접 보아도 큰 턱과 위를 갖고 있는 생김새에서 붙여진 이름이 발음이 점점 변하여 '아귀'가 되었다고 합니다.
두번째 설은 불교에서 유래된 아귀((餓鬼)라는 이름입니다. 팔부의 하나로 계율을 어기거나 탐욕을 부려 아귀도에 떨어진 귀신으로 몸이 앙상하게 마르고 배가 엄청나게 큰데, 목구멍이 바늘구멍 같아서 음식을 먹을 수 없어 굶주림으로 괴로워한다는 모습이 아귀와 비슷해 생겨났다고 합니다.
3. 아귀 효능
⏩고단백 저칼로리: 아귀는 단백질이 풍부하면서도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 식품으로 적합합니다. 체중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근육 형성에도 기여합니다.
⏩비타민과 미네랄: 아귀에는 비타민 B군, 특히 B12가 풍부하여 신경계 건강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철분, 아연, 셀레늄 등의 미네랄이 포함되어 있어 면역력 강화와 피로 회복에 효과적입니다.
⏩오메가-3 지방산: 아귀는 오메가-3 지방산이 포함되어 있어 심혈관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심장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항산화 작용: 아귀에 포함된 다양한 항산화 물질은 세포 손상을 방지하고 노화 방지에 기여합니다. 이는 피부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아귀 부작용
아귀는 따뜻한 성질의 식품이기 때문에 평소에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은 섭취 시 주의할 필요가 있으며, 아귀는 고래회충에 감염된 경우가 많아 날로 먹게 되면 심한 복통이나 소화불량, 구토 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내장을 제거한 후에 익혀서 먹는 것이 안전하다고 합니다.
5. 아귀 요리법
아귀는 다양한 요리로 즐길 수 있는데요, 신선한 상태의 아귀는 아귀수육과 바다의 푸아그라라고 불리는 아귀 간은 고소한 맛이 일품이며, 구이, 조림으로 즐겨먹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요리방법은 아귀찜으로 쫄깃한 아귀살과 아삭한 콩나물, 미나리, 무 등을 매콤한 양념으로 볶아낸 요리 입니다.
결론
아귀는 12월~2월까지 제철 해산물로 칼로리가 낮고 저지방 고단백 식품입니다. 면역력 강화, 피부건강 등 다양한 이점을 가진 아귀는 보편적인 요리법으로 여러가지 채소와 함께 아귀찜으로 만들어 먹을 수 있습니다. 건강상 효능이 많은 아귀와 함께 건강한 식단을 구성해 보시기 바랍니다.